브루트포스 공격(Brute Force Attack)은 공격자가 가능한 모든 비밀번호 조합을 무작위로 대입하여 로그인을 시도하는 무차별 대입 공격(유출된 정보로 대입하는것이 아님)입니다.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거나 계정을 탈취하는 데 사용되며, 암호의 복잡도에 따라 성공 확률과 시간이 달라집니다.
유형 | 설명 |
---|---|
단순 브루트포스(Simple Brute Force) | 가능한 모든 비밀번호 조합을 시도. |
사전 공격(Dictionary Attack) | 사전에 수집된 일반적인 비밀번호 목록을 사용하여 시도. |
역 브루트포스(Reverse Brute Force) | 비밀번호(예: ‘password123’)를 고정하고, 여러 사용자 계정에 대해 대입. |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 유출된 계정 정보를 활용하여 자동 로그인 시도. |
레인보우 테이블 공격(Rainbow Table Attack) | 해시된 비밀번호를 빠르게 복구하는 방법으로 암호화된 데이터 해독. |
✅ 장점(공격자 관점)
❌ 단점(공격자 관점)
구분 | 크리덴셜 스터핑 (Credential Stuffing) | 브루트포스 공격 (Brute Force Attack) |
---|---|---|
공격 방식 | 유출된 실제 사용자 계정(ID/비밀번호) 정보를 사용하여 로그인 시도 | 무작위로 생성된 비밀번호 조합을 하나씩 대입하여 로그인 시도 |
공격 대상 | 기존에 사용된 유효한 계정 정보 | 특정 계정(예: admin , root ) 또는 암호화된 비밀번호 해시 값 |
성공률 | 높음 (비밀번호 재사용율이 높기 때문) | 낮음 (랜덤 시도이므로 시간이 오래 걸림) |
공격 속도 | 빠름 (이미 유효한 계정 정보를 사용하므로) | 느림 (비밀번호 조합을 하나씩 시도해야 함) |
주요 도구 | Sentry MBA, Snipr, STORM, OpenBullet | Hydra, John the Ripper, Hashcat |
방어 방법 | – 사이트별 다른 비밀번호 사용 – 이중 인증(MFA) 활성화 – 유출된 비밀번호 차단 | – 복잡한 비밀번호 설정 – 로그인 시도 제한 적용 – CAPTCHA 도입 |
주요 피해 사례 | 넷플릭스, 디즈니+, 페이스북 계정 탈취 | 관리자 계정 크랙, 암호화된 데이터 해독 |
브루트포스 공격은 단순하지만 강력한 해킹 방법으로, 비밀번호 복잡성이 가장 중요한 방어 요소입니다. 개인과 기업 모두 이중 인증, 비밀번호 정책 강화, 로그인 시도 제한 등의 조치를 통해 보안을 강화해야 합니다. 🚀
윈도우 운영체제의 노트북에서는 iPhone 유선 테더링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iPhone의 드라이버가 설치가 안되있어서인…
안녕하세요, 혹시 이런 생각해 본 적 없으신가요? "내가 투자한 회사는 누가 감시하고, 어떻게 운영될까?" 오늘은…
1. Gemini CLI란 무엇인가요? Gemini CLI는 터미널 환경에서 직접 Gemini 모델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과적합은 머신러닝에서 학습용데이터를 과하게 학습하여, 실제데이터를 예측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인공지능(AI)의 학습 방법은 우리가 시험공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