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Switch)는 네트워크 장비 중 하나로, OSI 7계층 중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에서 주로 동작하며, MAC 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허브(Hub)와 비교할 때 지능적으로 데이터를 목적지로만 전달하여 네트워크 효율성과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스위치는 데이터 프레임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에 따라 다음과 같은 스위칭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스위칭 방식 | 수신 데이터 처리 방식 | 특징 |
---|---|---|
컷스루 (Cut-through) | 목적지 MAC 주소까지만 읽고 바로 전송 | ✔ 전송 지연 최소화 ✖ 오류 프레임도 전송됨 |
프래그먼트 프리 | 앞 64바이트만 읽고 오류 검사 후 전송 | ✔ 에러 가능성 있는 부분 검사 ✖ 성능-안정성 절충형 |
저장 후 전달 | 전체 프레임 수신 후 오류 검사 후 전송 | ✔ 오류 프레임 차단 가능 ✖ 전송 지연이 가장 큼 |
항목 | L2 스위치 | L3 스위치 |
---|---|---|
동작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Layer 2) | 네트워크 계층 (Layer 3) |
전달 방식 | MAC 주소 기반 | IP 주소 기반 + 라우팅 기능 포함 |
속도 | 빠름 (단순 전송) | 상대적으로 느림 (라우팅 처리 포함) |
사용 예 | 일반 사무실, 단순 LAN 구성 | 대규모 네트워크, VLAN 간 라우팅 |
스위치는 단순한 네트워크 연결 장비를 넘어서, 스마트한 트래픽 전달자이자 보안의 전초기지입니다. 스위칭 기법은 네트워크 성능과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용도에 맞는 기법 선택과 기능 설정이 중요합니다.
스위치를 이해하고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면, 네트워크 전체의 효율성과 보안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습니다.
윈도우 운영체제의 노트북에서는 iPhone 유선 테더링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iPhone의 드라이버가 설치가 안되있어서인…
안녕하세요, 혹시 이런 생각해 본 적 없으신가요? "내가 투자한 회사는 누가 감시하고, 어떻게 운영될까?" 오늘은…
1. Gemini CLI란 무엇인가요? Gemini CLI는 터미널 환경에서 직접 Gemini 모델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과적합은 머신러닝에서 학습용데이터를 과하게 학습하여, 실제데이터를 예측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인공지능(AI)의 학습 방법은 우리가 시험공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