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F(Berkeley Packet Filter) 도어는 해커가 관리자 몰래 뒷문을 새로 만든 것입니다.
해커가 명령을 내려 특정 데이터들을 뒷문을 통해서 탈취할 수 있습니다. 2025년 4월에 BPF도어 방식으로 SKT 개인정보 유출이 되어 큰 논란이 되었습니다.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까지, 국내 대표 통신사인 SK텔레콤(SKT)이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 연루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고객의 이름, 휴대폰 번호, 주소, 요금제 정보 등 민감한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었다는 점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특히 문제가 된 것은, 유출된 정보가 다크웹을 통해 유통되었으며, 이를 활용한 스미싱(Smishing), 피싱(Phishing), 그리고 악성코드 유포로 이어질 수 있는 점입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BPF도어(BPFdoor)” 또는 “BPF기반 악성코드”가 관련된 보안 위협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BPFdoor는 백도어 유형의 고급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악성코드로, 리눅스 및 솔라리스 시스템을 주요 타겟으로 합니다. 이름의 ‘BPF’는 Berkeley Packet Filter를 의미하며, 패킷 필터링을 우회해 시스템과 통신하는 능력이 특징입니다.
※ BPF 필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들어오는 모든 패킷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에 맞는 패킷만을 추출하여 성능 저하 없이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예를 들어, tcp port 80
같은 필터 조건을 설정하면, **HTTP 통신(TCP 80포트)**에 해당하는 패킷만 캡처할 수 있습니다.
[공격자] --> (특정 트리거 패킷) --> [피해 서버]
↓
[BPFdoor] 은닉 프로세스 실행
↓
[방화벽 우회] ←→ [C2 서버와 통신]
유출된 개인정보는 단순한 스팸 발송뿐 아니라, 사회공학적 기법을 활용한 고도화된 공격의 재료로 사용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BPF도어 같은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될 수 있습니다.
이번 SKT 개인정보 유출 사건은 단순한 프라이버시 침해를 넘어, 고도화된 사이버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BPFdoor와 같은 은밀한 APT형 악성코드는 기존의 방어 체계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위협입니다.
이 사건은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보안 인식 제고와 기술적 대응의 필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어야 합니다. 단순한 백신이나 방화벽을 넘어서, 심층방어 체계 구축과 로그분석, 위협 헌팅이 요구되는 시대입니다.
윈도우 운영체제의 노트북에서는 iPhone 유선 테더링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iPhone의 드라이버가 설치가 안되있어서인…
안녕하세요, 혹시 이런 생각해 본 적 없으신가요? "내가 투자한 회사는 누가 감시하고, 어떻게 운영될까?" 오늘은…
1. Gemini CLI란 무엇인가요? Gemini CLI는 터미널 환경에서 직접 Gemini 모델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과적합은 머신러닝에서 학습용데이터를 과하게 학습하여, 실제데이터를 예측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인공지능(AI)의 학습 방법은 우리가 시험공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