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structure as Code(IaC)는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는 방식으로,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등의 IT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서버리스(Serverless)는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중 하나로, 개발자가 서버 인프라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입니다. 서버리스라는…
서버 프로비저닝(Server Provisioning)은 서버를 설정하고 배포하여 운영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물리적 또는 가상 서버를 포함하며,…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기존 온프레미스 방식과는 달리,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컨테이너화(Containerization),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s),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데브옵스(DevOps),…
쿠버네티스(Kubernetes, K8s)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 관리,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입니다.구글이 내부적으로 사용하던 Borg 시스템을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Docker는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기술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애플리케이션과 그 실행 환경을 컨테이너(Container)라는 독립된 단위로 패키징하여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대표적인 NoSQL DB인 Redis(레디스)는 Remote Dictionary Server의 약자로, 오픈 소스 인메모리 키-값 저장소(key-value store)입니다. 주로 캐싱, 세션 저장, 메시지 브로커,…
리눅스에서 setuid의 역할과 확인 방법 1. setuid의 역할 setuid(Set User ID)는 리눅스에서 파일(특히 실행 파일)의 실행 권한을 조정하는 특수한 권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