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테크(SupTech)

섭테크(SupTech)란? 섭테크(SupTech, Supervisory Technology)는 “감독(Supervis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금융감독기관(규제기관)이 IT 기술(빅데이터, AI, 블록체인 등)을 활용하여 금융권을 감독하고 규제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즉, 섭테크는 금융감독기관이 효율적인 감독 및 규제 준수를 위해 사용하는 기술이며,레그테크(RegTech)가 금융사(기업)의 … Read more

레그테크 (RegTech)

레그테크(RegTech)란? 레그테크(RegTech, Regulatory Technology)는 “규제(Regulation)”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금융 및 기업 규제 준수를 위해 IT 기술(빅데이터, AI, 블록체인 등)을 활용하는 솔루션을 의미합니다. 즉, 기업이 복잡한 법규 및 규제를 준수하는 데 필요한 비용과 … Read more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솔루션

ASP 솔루션이란?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솔루션은 기업이나 개인이 소프트웨어를 직접 설치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아 사용하는 방식의 솔루션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소프트웨어를 구매해서 설치하는 대신,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아 사용하는 … Read more

제로트러스트 (Zero Trust)

Zero Trust 1.0 정의 Zero Trust 1.0은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 Forrester Research에서 제안한 보안 모델로, “아무 것도 신뢰하지 않는다(Never Trust, Always Verify)“는 원칙을 기반으로 한 보안 전략입니다. 기존의 경계 기반 보안 … Read more

제로트러스트 2.0 (Zero Trust 2.0)

제로트러스트 2.0 (Zero Trust 2.0) 개요 Zero Trust 2.0은 기존 제로트러스트 모델(1.0)의 개념을 확장하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및 클라우드 환경에 더욱 적합한 보안 패러다임으로 발전시킨 것입니다. 기존의 네트워크 중심 보안에서 벗어나 … Read more

QUIC (Quick UDP Internet Connections)

QUIC 프로토콜이란? QUIC (Quick UDP Internet Connections)는 Google에서 개발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기존의 TCP 프로토콜의 단점을 개선하고, 더 빠르고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QUIC의 주요 특징: QUIC의 작동 … Read more

HTTP 3.0 (HTTP/3)

HTTP/3란? HTTP/3는 2022년 6월에 공식 발표된 최신 HTTP 프로토콜로, 기존 HTTP/2의 단점을 해결하고 웹 성능을 개선한 버전입니다. 가장 큰 변화는 기존 TCP 기반이 아닌 UDP 기반의 QUIC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 Read more

머클 트리(Merkle Tree)

머클 트리(Merkle Tree)는 블록체인 및 분산 시스템에서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하는 데 사용되는 해시 트리(Hash Tree)의 한 종류입니다. 1. 머클 트리 개념 머클 트리는 리프(leaf) 노드에 원본 데이터의 해시 값을 저장하고, … Read more